샌드박스 코인 시세 전망 반등 가능성 높은 구간
샌드박스 코인 시세 전망
반등 가능성 높은 구간
안녕하세요. 기술적 분석을 통해 시세 전망을 알아봤는데,
앞으로는 어떻게 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긴 하락쐐기형 패턴의 상변을 돌파하면서 시세분출이 나오고 있던 상황이였는데,
이제 조정이 나올 수 있으니 이에 대비를 해야하는 구간이라고 적어드렸습니다.


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저의 생각에 대한 근거는 이 하락추세선이였습니다.
보면 샌드박스 코인 시세가 긴 시간동안 오르락 내리락 하며 고점과 저점을 낮춰가는 장기 하락추세였는데,
그 안에서 이 하락추세선에 닿을 때 마다 지지,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이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니 이 추세선을 좌측(과거)로 쭉 길게 이어봤습니다.


길게 쭉 연장하여 확인해보니 2021년에도 이 추세선은 지지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2021년 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유의미한 추세선으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죠.


11월 14일에는 하락쐐기형 상변을 돌파하면서 쭉 상승을 하다가 이 유의미한 하락추세선에 닿은 상황이였습니다.
과거에 오랫동안 지지 저항으로 작용한 선인 만큼 이번에도 저항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습니다.


말씀드렸던 하락추세선에서 저항을 받아 조정으로 이어진 모습입니다.
이전에 상승을 할 때 보다 추세선에 비빌 때 거래량이 더 많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는데,
이것은 그만큼 이 추세선에 닿을 때 매도물량이 많이 쏟아져 나온다는 겁니다.
결국 이 매도물량을 다 받아내지 못하고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죠.

아무튼 이제는 14일에 적어드렸던 0.375 – 0.382 달러 부근에서의 반등을 기대하고 매수를 해볼만한데요.
아무런 근거 없이 이 자리를 잡지는 않았겠죠.

과거에 두 번이나 지지를 해줬던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입니다.
두 번 다 그냥 하락 정도가 아니라 급락이 나오던 상황이였는데,
그 강한 매도세를 반전시킬 정도의 강한 매수세가 출현한 자리입니다.
샌드박스 코인 시세 차트에서 매우 매우 중요한 자리이죠.
아랫꼬리를 달고 지켜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자리에서부터
분할 매수로 진입을 하는 것도 현명한 진입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만약 이 자리를 지지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경우엔 급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
빠르게 손절 대응을 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