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리고 최근 ATOM 개혁안을 발표, 최근 OP의 등장으로 위협을 받고 있는 왕좌의 자리를 지키기위해 소통을 끊임없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.
1️⃣ 블록윅스 리서치
1) 인플레이션을 감소 시키는 방향으로 토크노믹스 개현
2) 다이나믹 LST(유동성 스테이킹 토큰)을 통한 ATOM 소각 구조 구축
3) 보팅 파워 텍스(가중치 세금?)
요약 : 네트워크 보안성을 위한 ATOM은 이미 시장에 많이 풀렸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TAX를 징수하여 소각하는 등 디플레이션 모델을 적용하자!
2️⃣ 바이너리 빌더(Binary Builders )
1) 안전성 리저브 펀드(??)
2) 아톰 언라인먼트(alignment) 트레저(???)
3) 개발자 수익 인센티브 프로그램(????)
요약 : ATOM을 중심의 생태계 질서를 되찾고, 생태계 성장을 통해 발생하는 가치를 ATOM과 연결시켜 보자(?)
3️⃣RMIT
1) ICS 스탠다드 컨트렉트
2) SubDAO <> MainDAO 관계(?)
요약 : ATOM 토크노믹스 보다 코스모스 허브에 대한 실존적 생존을 위한 솔루션 같습니다.
이러한 문제들을 겪고 해결하면서 코스모스 생태계는 더욱 탄력적이고 홀더들은 단단해졌다 할 수 있는데 최근 큰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생태계 코인들을 보면 앞으로 코스모스 코인의 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이라 생각을 한다.
차트적 관점으로도 좋은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.